퇴락한 한국의 저널리즘

이미 한겨레 한승동 기자의 글에 대한 비판이 이미 태그되었기에 기사 본문은 생략하고 방송을 보신 분의 글을 복사해 둔다.
“일본인의 시각” 이라고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국적도 이념도 무엇이 옳은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 이 당연한 일이, 우리에겐 일본/진보(좌파)를 향해서는 늘 망각된다.
Facebook 글을 줄이겠다고 했던 직후에 정영환교수 책이 출간되어 또다시 어지러운 며칠을 보냈다. 두통이 실제로 일어나 몸이 아프다는 건 내가 탁해졌기 때문일 것이다. 나 역시 부족하고 부족하다.
소송은 오로지 이기고 지는 것이 초점이 되는 싸움이다. 그래서 세속적일 수 밖에 없다.
근거없는 곡해와 오독으로 학문을 세속화한 것은 누구인가.
———-
한국의 저널리즘이 이렇게까지 퇴락했구나 하는 것이 기사를 읽었을 때 첫 느낌이었다.
특정한 사람이나 책에 대한 평가는 물론 자유이나 가급적 편향성을 기피하려는 의식 정도는 갖추는 게 신문가자의 기본일 것이다.
무엇보다 사실 확인을 제대로 하는 자세 또한 저널리즘에는 요구된다.
질의응답 부분. 이 날 기자회견을 동영상으로 보고 있었던 나(후반 뿐이지만)로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기사는 사실을 은폐하거나 왜곡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유하 교수의 폐이스북을 보면 박교수가 푸른역사아카데미에서 [초청]되었음이 확인되는 메일 사진을 볼 수 있고, 나중에 박교수에게 실행위원회에서 온 [착오가 있어서 그렇게 됐다]는 메일도 확인이 가능하다. 비록 기사를 쓸 때 그러한 정보가 없었다 하더라도 박교수에게 그 자리에서 직접 물어보면 되는 일이었다. 동영상을 보는 외국인인 나조차 무슨 착오가 있었구나 하는 정도는 추측이 가는 부분이었는데 기사를 쓴 분에게는 그 가능성조차 생각을 못하셨던 모양이다.
인터뷰는 또한 이게 무엇인가 싶었다. <제국의 위안부>의 학술적 검토도 마땅히 있어야 하고 정영환 교수 책 또한 마찬가지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청구권의 문제 하나 가지고도 의논은 그렇게 쉽지는 않다. 고노담화의 대한 평가도 그리 쉬운 것은 아니다.
정 교수가 쓰는 [화해론]이라는 용어에 대한 규정도 재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신현철 선생님이 대략 다음과 같은 말을 한 적이 있다. [비판은 언제나 가능하다. 그러나 조소는 언제나 불가능하다. 남을 조소하면서 느끼는 쾌감은 인간이 향유할 수 있는 가장 저급한 쾌감이며 그 유혹에 굴복한다는 것은 내 안의 있는 가장 저열한 존재와의 싸움에 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어 메모에 의한 것이므로 표현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그날 행사장에도 비아냥 어린 웃음이 나에게는 보였다(내 착각이길 바랄 뿐이다).나는 결코 조소하는 입장에 서지 않으련다.
군사정권 시절에는 민주화를 원하는 사람들이 편향과 왜곡 보도 때문에 고통을 겪은 적이 있는 줄 안다.
그러나 이 기사를 보니 한겨레 신문은 이미 권력자가 된 모양이다. 적어도 박유하 교수의 인권을 존중하는 자세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한국에 있어서 불행한 일인 것이다.
https://www.facebook.com/kumakichi39jp/posts/131680210593808

https://www.facebook.com/parkyuha/posts/1405803206113256